12 · 12 사태의 발단과 전개 및 영향, 여기서 확인해보세요!


 

12 · 12 사태의 발단과 전개 및 영향




12 · 12 사태의 발단과 전개 및 영향

금하신가요? 

 

12 · 12 사태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및 노태우 등이 이끌던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가 일으킨

군사반란을 일컫습니다.

 

이 글을 통해 

12 · 12 사태의 발단과 전개 및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글 놓치지마세요!

 

12 · 12 사태의 발단과 전개 및 영향, 여기서 확인해보세요!
12 · 12 사태의 발단과 전개 및 영향, 여기서 확인해보세요!

 

 

 

12 · 12 사태의 발단




1979년 대통령인 박정희가 사망한

10 · 26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그 사건으로 인해

합동수사본부장을 맡고 있던 전두환 보안사령관과

육군참모총장이자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간에는

수사와 군 인사 문제로 인한 갈등이 있었습니다.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군 내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정승화가 김재규로부터 돈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10 · 26 사건 수사에 소극적이고 비협조적이라고 주장하여

정승화를 강제로 구금하기로 계획한 것이

12 · 12 사태의 발단입니다.

12 · 12 사태의 전개

 

1. 정승화 연행 계획 수립 및 지시

 

11월 중순,

국방부 군수차관인 유학성,

1군단장 황영시, 수도군단장 차규헌,

그리고 9사단장 노태우 등이 참여하여

계획된 12월 12일 군사반란을 실현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20사단장 박준병, 1공수여단장 박희도,

3공수여단장 최세창, 5공수여단장 장기오 등과

사전에 접촉을 시도했습니다.

 

12월 초순에는

전두환이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

보안사 인사처장 허삼수,

육군본부 범죄수사단장 우경윤에게

정승화 연행 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시했습니다.

2. 정승화 강제 연행

 

이 계획에 따라 12월 12일 저녁에는

 

허삼수, 우경윤 등 보안사 수사관과

수도경비사령부 33헌병대 병력 50명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침입하여

경비원들을 격퇴하고

 

육군참모총장인 정승화를

보안사 서빙고 분실로 강제로 연행했습니다.

3. 국방부와 육군본부 점령

 

한편, 정승화의 연행에 저항할지도 모르는

특전사령관 정병주, 수경사령관 장태완,

육군본부 헌병감 김진기는

보안사 비서실장 허화평에게 유인되어

연희동 요정의 연회에 초대되었습니다.

 

연회 중에 정승화의 연행 사실이 전해지자

정병주, 장태완 등의 육군장성들이

대응 태세를 갖추려 했지만,

이미 전두환은 박희도와 장기오에게 지시하여

국방부와 육군본부를 점령하게 함으로써

육군지휘부를 무력화시켰습니다.

4. 신군부의 군사 무력화

 

정승화의 연행 소식이 알려지자

정병주와 장태완은 수도권 인근의 병력을 동원하여

신군부의 군사반란에 대응하려 했지만,

 

신군부는 전방을 지키던

노태우의 9사단을 도입하여 대처했습니다.

 

결국 신군부는 정병주와 장태완을 체포하며

반란 진압군을 무력화시켰습니다.

5. 육군참모총장 연행 재가

 

이러한 사태의 전개는

당시 대통령 최규하의 재가 없이 진행되었습니다.

 

사후 승인을 받기 위해

신군부는 최규하에게 압력을 가해

총장연행 재가를 요청했지만,

국방장관의 동의가 필요하다며 거절당했습니다.

 

이에 신군부는 국방장관 노재현을 체포하여

대통령이 정승화의 연행을 재가하도록 설득하였고,

결국 당시 대통령인 최규하는 13일 새벽에

정승화의 연행을 재가하게 되었습니다.

 

최규하 생애 이야기, 바로가기

 

 

12 · 12 사태의 결과와 영향




1. 신군부의 권력 장악

 

군사반란의 성공 이후,

신군부는 신속하게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전두환은 육군대장 및 중앙정보부장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으며,

노태우 또한 대장 및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그 이후 대통령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노태우는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1979년 12·12사태에 가담하여

수도경비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신군부세력의 정권획득을 위해 참여하였습니다.

 

노태우는 1988년에 제13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제6공화국 대통령으로 취임하였지만,

1995년에는

재임 기간 중 비자금을 모금한 사안이 논란이 되어

검찰에 구속되어 재판을 받는 등

불명예로운 일을 겪었습니다.

2. 신군부의 비상계엄령 선포 및 언론 통제

 

뿐만 아니라 12 · 12 군사반란의 성공으로 인해

신군부는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언론을 통제하여

민주헌정을 중단하고

군정으로 전환하려 했습니다.

 

 

3. 국민들의 저항 운동(5 · 18 민주화운동)

 

이에 많은 국민과 정치인들이 저항 운동을 전개하였고,

1980년 5월 17일에는

비상계엄령이 전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여러분들이 잘 알고 계시는

5 · 18 광주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지게 된 것입니다.

 

참고로 5 · 18 광주 민주화운동

1980년 5월 18일 광주와 전남 지역에서

신군부의 집권 음모를 규탄하고

민주주의의 실현을 요구하는 민중항쟁을 말합니다.

 

이 운동이 일어난 다음 해인 1981년 5월 18일,

피해자 집단, 학생, 재야운동 세력 등이

망월묘역에서 추모행사를 개최하였는데,

 

국가는 이러한 추모행사를 방지하기 위해 탄압을 가했지만,

5월 계승운동의 일환으로 꾸준하게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1997년 5월에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12 · 12 사태의 평가

 

12 · 12 사태의 주요 인물인 전두환노태우

대통령으로 재임한 1993년 초에 이르기까지

12 · 12 군사반란은 집권 세력에 의해 정당화되었습니다.

 

그러나 노태우 다음 정부인 김영삼의 문민정부

이 사건을 하극상에 의한

쿠데타적 사건으로 규정했습니다.

 

이후 1995년에 전두환과 노태우는

12 · 12 군사반란 참여 및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되어

1997년에 징역형과 추징금이 선고되었지만,

같은 해에 사면을 받았습니다.

12 · 12사태 정의, 바로가기

 

최신 정보가 알고 싶을 땐, 튼튼 Blog



 

12 · 12 사태는 언제 일어났나요?

12 · 12사태는 1979년 12월 12일에 일어났으며,
전투환, 노태우 등 신군부의 군사반란을 12 · 12사태라고 말합니다.

12 · 12 사태로 인해 어떤 일들이 일어났나요?

신군부는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언론을 통제하였으며, 민주헌정을 중단하고 군정으로 전환하려고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1980년 5월에는 광주와 전남 지역에서 5 · 18 광주 민주화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최규하 전 대통령은 어떤 사람인가요?

최규하 생애 이야기, 바로가기 를 통해 최규하 대통령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노태우는 언제 대통령이 되었나요?

노태우는 1988년 제13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제6공화국 대통령으로 취임하였습니다.

전두환과 노태우는 언제 기소되었나요?

1995년 전두환과 노태우는 12 · 12 군사반란 참여 및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되어
1997년 징역형과 추징금이 선고되었지만, 같은 해에 사면을 받았습니다.

댓글

댓글 남기기

최근 글

댓글 남기기

Social Share Buttons and Icons powered by Ultimatelysocial